항생제 / 페니실린 / 항생제내성균

항생물질(antibiotics) 생물, 특히 미생물에 의해 만들어지는 물질로 세균이나 기타 미생물의 발육과 생활기능을 저지 또는 억제하는 의약품 두산백과

항생제란 다른 미생물에 대해서 해로운 미생물이 생산하는 화학 물질이다.고대 이집트인은 상처에 꿀을 발랐는데 이는 뛰어난 선택이었다.꿀의 끈끈한 성분이 환부를 자연스럽게 봉합하고 박테리아로부터 상처를 보호하는 역할을 했을 뿐 아니라 무엇보다 꿀이 패혈증을 치료하는 항생 물질의 역할을 할 과산화 수소 성분을 함유하고 있기 때문이다.다른 문화권에서는 찢어진 상처에 빵과 케이크를 사용하고 자연스럽게 발생한 페니실린이라고 할 수 있는 곰팡이도 박테리아를 물리치면 추측했기 때문일 것이다.

항생제 주위에서는 미생물이 번식할 수 없다.

다른 미생물의 발육을 저해하는 항생 물질-세균 감염이 원인이 되어 생기는 병(감염증)은 오랫동안 인류를 짓눌렀다.그러나 감염증에 손든 인류는 치료약을 손에 넣기로 감염증과 싸울 수 있도록 되고, 가장 큰 성과를 빚은 것이 항생 물질이다.항생 물질은 본래”한 미생물이 생산하고 다른 미생물의 증식을 억제하는 물질”을 의미하며 현재는 항암 작용이 일어나는 물질 등도 항생 물질에 포함됐다.페니실린을 발견한 플레밍

페니실린의 발견자 Alexander Fleming

-처음에 항생 물질을 발견한 것은 영국 미생물학자인 알렉산더·플레밍이다.제1차 세계 대전에 참전한 플레밍은 전장에서 부상한 병사들이 세균에 감염되고 그 세균이 온몸에 확산되고 패혈증으로 죽는 모습을 목격했다.그리고 1982년 9월 방학에서 돌아온 플레밍은 세균을 뿌린 뒤 방치했던 샬레에서 신기한 현상을 발견하게 되는데 바로 푸른 곰팡이가 난 부분 주위에는 세균이 살고 없었던 것이다.이 현상에 흥미를 느낀 플레밍은 살아 있는 푸른 곰팡이에서 항생 물질을 추출하는 데 성공하고 이것이 바로 페니실린이다.그 뒤 다른 연구자의 노력으로 페니실린의 대량 생산이 가능하며 1944년 노르망디 상륙 작전 당시에 널리 쓰였다.페니실린(penicillin)

페니실린 구조식

분자식:C16H18N2O4S분자량:334.390g/mol페니실린은 페니실륨 속에 속하는 곰팡이에서 얻은 화학 물질로 세균 감염을 치료하는 항생제이다.최초의 항생제이지만, 내성, 기술의 발달로 새로운 항생제의 개발 등으로 최근에는 별로 쓰이지 않고 단일제로 주사제만 사용되고 있다.인체 세포에는 없는 구조인 세균의 세포 벽 합성을 방해하고 항균 작용을 나타낸다.페니실린은 연쇄 구균, 임균, 뇌막염균 등에 작용하고 편도염, 수막염, 패혈증, 세균성 심 내막염, 임질, 중이염, 연 조직염 등을 치료한다.성인의 경우 페니실린 G로 1회 30~60만 단위를 하루 2~4회 근육 또는 정맥 주사한다.연령이나 증상에 응하고 적절하게 증감한다.

페니실린.

페니실린 및 페니실린계 항생제에 과민반응이나 쇼크 병력이 있는 환자에게는 투여하지 않는다. 주의사항 – 신장장애 환자에서 높은 혈중농도가 지속되어 발작, 의식저하 등이 나타날 수 있으므로 신중하게 투여한다.-심장질환이 있는 환자에서 혈중 칼륨 농도 상승으로 순환계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신중하게 투여한다.- 과민반응, 쇼크 등을 예측하기 위해 의료전문가와 충분히 상담하고 사전에 피부반응 시험이 실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투여 후에도 응급처치가 준비된 상태에서 쇼크 발생에 대비해 충분히 관찰돼야 한다.

최초의 페니실린인 페니실린-G

세균의 증식을 억제하는 페니실린 페니실린 같은 부류에 속하는 항생제는 세균이 세포 벽을 만드는 것을 저해하고 세균의 증식을 억제한다.그런데 인간을 포함한 동물 세포에는 이 세포 벽이 없기 때문에 우리는 페니실린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이처럼 세균에는 작용하지만 동물에게는 작용하지 않기로 선택성이라는 선택성이 높을수록 사용하기 쉬운 약이다.페니실린처럼 세포 벽의 생합성을 저해하는 것은 가장 선택성이 높은 항생 물질이다.결핵균에 효과가 있는 스트렙토마이신은 세포 속의 리보솜에 작용하고 단백질의 생합성을 저해하고 이 그룹에 속하는 항생 물질의 선택성은 페니실린의 다음으로 높은.또, 블레오 마이신이나 미토 마이신 C는 세포 안에서 DNA생합성을 저해하는 항생 물질로 세균에 대한 선택성은 가장 낮은 항암제로 사용된다.표적을 기준으로 분류되는 항생제 항생제의 항생 물질이 세포의 증식을 억제하기 위해서도 인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이유는 세포 벽의 여부처럼 세균과 진핵 생물 사이에 나타나는 세포의 구조와 기능의 차이를 이용하기 때문이다.이 차이 때문에 선택성이 높은 항생 물질을 개발할 수 있다.성가신 내성균 문제

항생제 내성을 가진 세균

다양한 항생 물질이 개발되어 지금은 감염증을 이길 수 있다고 생각한 시기도 있었지만, 항생제가 통하지 않는 균도 점차 나타나기 시작했다.이런 균을 내성균이라는 항생 물질을 둘러싼 가장 큰 문제가 되고 있다.세균은 끊임없이 진화하는 새로운 항생 물질이 개발되더라도 몇년 안에 내성 균이 등장한다.세균이 일단 항생 물질에 대한 내성을 갖게 되면 내성의 원천이 되는 유전자가 다른 세균을 엄습하면서 여기에 그치지 않고 다른 종류의 세균에도 확대되고 있다.항생 물질이 효과가 없는 감기나 독감에 항생제를 처방하거나 가축의 발육 또는 건강을 위한다는 이유로 항생 물질을 남용하는 등 인간의 잘못된 행동이 박테리아 문제를 더 심각하게 만들고 있다.

참고 자료와 사진의 출처-항생 물질(naver.com), 항생 물질(naver.com), 항생 물질-위키 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 사전(wikipedia.org)플레밍(naver.com)페니실린(naver.com)우연과 행운이 겹쳐서 탄생한 인류 최초의 항생제’페니실린’-글로벌 뉴스 미디어 채널 데일리 포스트(thedailypost.kr)페니실린-나무 위 방법(namu.wiki)항생제도 이기는 무서운 ‘항생제 내성균’– Sciencetimes참고 문헌-‘머리 속에 잘!미생물 노트’-시그마 북스, 사마 키다케오하고 보다.

 

error: Content is protected !!